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동차 구매할 때 장기렌트 VS 리스 어떤게 유리할까?

by NOTEBUG 2022. 2. 28.

자동차를 구매하려고 알아보다 보면 일시불, 할부 외에도 장기렌트나 리스라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장기렌트나 리스는 일반 할부에 비해 월 납입금이 적다는 것이 장점인데요, 두 방식의 차이점과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 장기렌트와 리스의 차이점
  • 장기렌트와 리스의 장단점
  • 나에게 맞는 방식은?

 

 

 

장기렌트와 리스의 차이

장기렌트와 리스의 기본적인 개념은 거의 비슷합니다. 쉽게 설명하면 일정기간 차량을 빌려서 쓰다가 기간이 끝나면 반납하거나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 인수하는 방식입니다. 비용의 책정은 차량의 원래 가격에서 계약기간이 끝나는 시점의 잔존가치율(중고 시세)을 뺀 나머지 금액을 계약 기간 동안 나눠내는 방식이며 계약 기간이 끝난 후 차를 반납하거나 남은 금액을 내고 인수할 수 있습니다.

 

두 방식의 가장 큰 차이점은 보험료와 세금입니다. 장기렌트는 보험료, 세금까지 포함된 가격으로 월 납입금을 내는 방식이지만 리스는 보험료, 세금을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동일한 조건으로 비교를 하면 월 납입금은 리스가 더 저렴합니다.

 

 

 

장기렌트와 리스의 장단점 비교

리스가 월 납입금이 더 저렴하다면 그냥 리스가 더 좋은거 아닌가 생각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달라집니다. 자동차를 처음 구매하거나 기존에 사고 이력이 있어서 또 사고를 낼까 봐 걱정이 되는 경우 장기렌트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장기렌트는 사고를 내더라도 사고 이력이 남지 않고 일정 금액의 본인 부담금만 내면 되기 때문에 운전이 미숙하거나 기존에 사고이력이 남아있는 분들이라면 렌트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렌트기간중 사고를 냈더라도 렌트기간이 끝난 후 일반적인 방법으로 차량을 구매하는 경우 보험료에 대한 할증이 없습니다. 인수하지 않고 반납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페널티가 주어지지 않습니다. 반대로 렌트 기간 중 사고가 나지 않는다면 금액적으로 이득이 되는 부분은 없습니다. 번호판이 렌트 전용인 하, 허, 호인 것도 사람에 따라 단점이 되기도 합니다.

 

리스는 월 납입 금액이 저렴한 대신 보험료와 세금을 직접 납부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계약 기간 중 사고가 나는 경우 반납할 때 페널티가 주어지게 됩니다. 중고 시세에 맞는 차량을 돌려줘야 하는데 사고가 난 차량은 시세가 더 떨어지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장기렌트 리스
월 납입금 많음 적음
인수 시 총 납입 금액 많음 적음
보험료 / 세금 렌트 회사가 납부 직접 납부
사고 이력 남지 않음
(보험료 할증 X)
남음
(보험료 할증 O)
기타 부채에 포함 X 부채에 포함
(타 대출에 영향을 줌)

 

 

 

나에게 맞는 방식은?

그럼 나에게 맞는 방식은 어떤것일까 감이 잡히시나요? 우선 금액적인 부분으로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최대한 적은 월 비용으로 차량을 사용하고 싶다면 리스가 적합합니다. 다만 만기 후 차량을 인수하는 경우 목돈에 대한 부담은 리스가 더 큽니다. 하지만 월 비용이 조금 더 비싸더라도 사고, 보험, 세금관리 대한 장점과 부채의 증가가 부담스러운 상황이라면 장기렌트가 적합합니다.

 

월 비용이 아닌 총 비용으로 비교를 해볼 수도 있습니다. 월 비용은 리스가 저렴하지만 최종 금액은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5년간 타다가 인수하는 경우 업체에 지불하는 총비용은 장기렌트가 더 높지만 리스의 경우 5년간 내는 보험료, 세금을 총비용을 합친 금액으로 비교를 해야 합니다. 

5년간 리스 후 인수시 총 비용 + 보험료 + 세금  VS  5년간 렌트 후 인수시 총 비용

자동차-리스-견적-샘플
자동차-리스-견적-샘플

 

 

 

지금까지 장기렌트와 리스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여기서 한가지 잘 체크해야 하는 부분은 장기렌트와 리스가 매월 내야 하는 금액은 저렴할 수 있지만 총지출 비용에서는 일반적으로 일시불, 할부로 사는 것보단 무조건 비쌀 수밖에 없다는 점은 숙지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20대 30대 사회초년생 첫차 구매시 주의할점

 

20대 30대 사회초년생 첫차 구매시 주의할점

 첫차는 빠르면 20대 초반이나 20대 중후반 즈음 사회생활을 시작하게 되면서 구입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처음 구매하는 것이다 보니 어떤 차를 사야 할지 어디서 사야 할지 보험은 어떤 걸

dnjps.tistory.com

 

댓글